주식 용어설명
📚 ROE (자기자본이익률) — 기업 수익성의 핵심 지표
주식농노
2025. 4. 28. 00:00
SMALL
🔍 ROE란 무엇인가?
**ROE(Return on Equity)**는
기업이 주주로부터 받은 자본(자기자본)을 이용해
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익을 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.
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.
ROE = 당기순이익 ÷ 자기자본 × 100
쉽게 말하면,
"주주가 투자한 돈으로 기업이 얼마나 돈을 잘 벌었는가?"
를 평가하는 기준입니다.
📈 ROE 해석 방법
- ROE가 높다
➔ 기업이 자본을 효율적으로 운용해 많은 이익을 내고 있음
➔ 우량 기업일 가능성↑ - ROE가 낮다
➔ 자본 운용이 비효율적이거나 수익성이 낮음
➔ 투자 매력도↓, 경영 개선 필요성
✅ 예시
- A기업: 자기자본 1조 원, 당기순이익 1,000억 원
➔ ROE = (1,000억 ÷ 1조) × 100 = 10% - B기업: 자기자본 1조 원, 당기순이익 100억 원
➔ ROE = (100억 ÷ 1조) × 100 = 1%
👉 당연히 A기업이 더 투자 매력적인 회사로 평가됩니다.
🧠 ROE를 볼 때 주의할 점
1. 일회성 이익에 주의
- 특정한 해에 비정상적으로 수익이 급등하면,
ROE가 일시적으로 높아질 수 있습니다.
2. 부채비율과 함께 봐야 한다
- 부채를 과도하게 끌어와도 ROE를 인위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.
- 따라서 부채비율과 함께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.
3. 업종 평균과 비교
- 산업군마다 ROE 기준이 다릅니다.
(예: IT업종은 평균적으로 ROE가 높고, 제조업은 낮을 수 있음)
📊 ROE를 활용한 투자 전략
- ROE가 꾸준히 높은 기업은 장기적으로 강한 수익성과 성장성을 보입니다.
- ROE 10% 이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기업은
가치투자자들의 선호 대상이 됩니다. - **ROE 트렌드(상승/하락)**를 관찰하면 기업 경영 상태를 읽을 수 있습니다.
🧭 결론
ROE는 기업이 주주자본을 활용해
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익을 창출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핵심 지표입니다.
꾸준히 높은 ROE를 기록하는 기업은
경쟁력이 탄탄하고 수익 구조가 안정적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,
투자 시 매우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됩니다.
"ROE를 알면 기업의 진짜 실력을 볼 수 있다."
LIST